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K금융 콘텐트 영어로…‘삼프로TV’ 뉴욕 진출

“K팝, K푸드 등 K콘텐트가 세계적 인기를 끌고 있지만, 아직도 한국은 금융산업에선 후진국이란 이야기를 듣습니다. 이번 기회에 한국에서 인기를 끈 금융·경제 채널 ‘삼프로TV’를 뉴욕에서 성공시켜보고자 오게 됐습니다.”     구독자 230만명을 보유한 유튜브·팟캐스트 동시송출 경제채널삼프로TV(https://www.youtube.com/@3protv)가 뉴욕을 거점으로 삼아 글로벌 진출을 타진한다.   23일 뉴욕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김동환(사진) 삼프로TV 대표이사는 “재테크 인사이트를 심어주는 비즈니스 모델을 한인들은 물론이고 타민족까지 겨냥해 넓혀보고 싶다”고 말했다.   김 대표가 뉴욕을 찾은 것은 거의 15년 만이다. 증권사에서 승승장구하던 김 대표는 2005년 뉴욕으로 건너와 사업을 했다. 첫 시도였던 모자 사업은 실패했지만, 한정판 운동화를 수집해 흑인 커뮤니티에 팔았던 신발 사업은 성공을 거뒀다. 한국으로 돌아간 후 다시 몸담은 금융권 경험을 바탕으로 2018년부터 삼프로TV 채널을 개설했다. 이 채널은 한국에서 팬데믹 초기부터 큰 인기를 끌며 성장했다.   그는 “과거 경험 덕분에 ‘뉴욕에서의 성공’이 어떤 의미인지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에도 굳이 뉴욕에 다시 오게 된 이유다. 그는 “뉴욕에서도 삼프로TV 콘텐트를 영어로 제작해 한인과 타민족에 제공할 계획”이라며 “의외로 미국에서는 영상을 동반한 친절한 경제 플랫폼이 없어 주류시장 진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영어 콘텐트는 이르면 5월부터 제공할 예정이며, 일정 수준의 해외 구독자를 확보한 후엔 향후 나스닥 시장까지 진출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김 대표는 “어느 정도 물가가 잡힌 후에는 다시 저성장·저금리 시대가 도래하고, 투자수요는 계속 이어질 것”이라며 “백세시대에 근로소득으로만 살 수는 없기 때문에 경제 콘텐트에 목마른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에 필요한 경제지표·교육 구독서비스도 동반할 계획이다.   아울러 그는 “뉴욕 일원 한인들의 투자 관심사가 무엇인지 잘 알고 있는 만큼, 한인에 초점을 맞춘 경제 세미나도 기획 중”이라며 많은 관심을 당부했다. 김은별 기자삼프로tv 콘텐트 영어 콘텐트 경제 콘텐트 뉴욕 중앙일보

2023-03-27

40대 33% "노후대책 없다"

30~50대 약 절반, 월 500달러 미만 저축 60대 40% 연소득 2만 달러 아래로 생활 노후를 대비해 저축이나 투자를 하는 한인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중앙일보가 창간 40년을 맞아 44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인 세대별 의식 조사' 결과 30대 28% 40대 33% 50대 38%가 노후 대비를 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또 30~50대의 약 절반은 미래 대비 저축.투자 금액이 월 500달러 미만이라고 답했다. 평균 수명이 길어지면서 노후 대비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이를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넉넉하지 못한 경제 사정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이번 조사에서 30대의 39%가 연소득 4만 달러 미만이라고 답했다. 40대는 20% 50대는 31%가 연소득 4만 달러 미만이라고 밝혔다. 은퇴 연령층인 60~80대도 경제 사정이 넉넉하지 않은 편으로 나타났다. 60대의 경우 40%가 연소득 2만 달러 미만이라고 답했다. 또 60대의 76%가 연소득 4만 달러 미만으로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노후 대비 방법으로 3명 중 1명꼴로 저축(30%)을 선택해 가장 많았으며 401(k) 등 금융상품(15%) 생명보험(8.5%) 주식투자(4%) 순이었다. 매달 저축한다고 답한 이들은 전체의 44.6%였다. 이밖에 젊은 층은 직장인 비율이 높았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자영업 종사 비율이 커졌다. 30대는 72%가 직장인이라고 밝혔으며 자영업 종사 응답은 5%였다. 반면 50대는 자영업이 27%로 늘었으며 직장인은 57%로 줄었다. 한편 인터넷.스마트폰 사용 등에 있어서는 세대 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대는 하루 평균 인터넷.스마트폰 사용시간이 6.1시간이었으나 연령이 낮아질수록 짧아져 50대는 20대의 절반인 3.1시간 70대는 1.7시간으로 줄었다. 또 젊은 층일수록 스스로 스마트폰을 능숙하게 사용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컸다. 20대는 전체의 65%가 스마트폰을 매우 능숙하게 다룬다고 답한 반면 50대는 6%만이 매우 능숙하게 다룬다고 밝혔다. 또 20대는 스마트폰 사용이 미숙하다고 답한 사람이 한 명도 없었지만 70대는 27% 80대는 37%에 달했다. 스마트폰 선호 브랜드에 있어서는 20대 60%가 아이폰을 사용한다고 답했지만 삼성(33%).LG(4%) 사용자는 적었다. 하지만 70대의 경우 삼성 제품 사용자가 절반이 넘는 52%로 애플(21%).LG(11%)에 비해 많았다. 선호하는 자동차 브랜드를 묻는 질문에서는 20대의 경우 독일 브랜드 응답률이 38%로 일본(22%).한국(17%)보다 높았다. 반면 연령이 높아질수록 일본 브랜드 선호도가 두드러졌다. 40대와 50대는 응답자의 약 절반이 일본 브랜드를 선호한다고 답했으며 한국 브랜드를 선호한다는 응답은 각각 13%와 24%에 그쳤다. 70대의 경우 한국 브랜드 선호 응답이 33%로 다소 높아졌으나 여전히 일본 브랜드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44%로 더 많았다. 또 젊은 층일수록 인터넷으로 뉴스를 보는 경향이 컸지만 60대 이상은 종이신문이나 텔레비전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는 94%가 인터넷을 통해 뉴스를 접한다고 밝혔지만 60대의 경우 인터넷이란 응답이 40%로 낮아지고 종이신문.텔레비전을 통해 뉴스를 본다는 응답이 60%를 차지했다. 서한서.서승재.황주영 기자 심지영.정하은 인턴기자 [email protected]

2015-09-22

50대 절반 "한국으로 역이민 고려"

중년층일수록 많은 이민 생활 고충 시사 20대 93% "타민족과 결혼 나쁘지 않다" 정당 지지율 민주당 42%, 공화당 14% 한인사회 중년층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한국으로의 역이민을 희망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뉴저지 일원 한인 50대의 절반이 한국으로의 역이민을 고려한다고 밝힌 반면 20대는 10명 중 3명 70대는 10명 중 1명만이 역이민을 희망한다고 대답해 대조를 이뤘다. 뉴욕중앙일보가 창간 40년을 맞아 20~80대 44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인 세대별 의식 조사' 결과다. 이에 따르면 30~50대는 각각 42% 30% 47%가 "한국으로의 역이민을 고려한다"고 답했다. 반면에 20대의 경우 27% 60대와 70대는 각각 17%와 10%만이 역이민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결과는 중년층일수록 이민 생활의 고충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2000년대 후반부터 지속되고 있는 불황으로 인해 한국으로 돌아가고 싶은 한인 이민자가 적지 않음을 추정할 수 있다. 반면 20대의 경우 갓 이민을 왔거나 유학생 등 미국사회의 안정된 정착을 꿈꾸는 이들의 비율이 높고 60대 이상은 이미 안정된 터전을 꾸려 한국으로의 역이민을 크게 고려치 않는 경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10명 중 6명 "한인사회가 부끄러울 때 있다" 20대 53%, 70대 70%…연령대 높을수록 커 뉴욕한인회 분열사태 등 갈등이 주요 요인 "결혼은 필수" 20대 62%, 80대 96%로 대조 동성 간 결혼도 52% 대 87%로 세대차 극명 "불체자 시민권 허용" 20대 16%, 60대 38% 또 한인 10명 중 6명 이상이 한인사회가 부끄러울 때가 있다고 답했다. 특히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 같은 경향이 커졌다. 20대는 53%가 한인사회에 대해 부끄러울 때가 있다고 답했지만 40대의 경우 68%가 70대는 무려 70%가 그렇다고 답한 것. 이 같은 결과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20대의 경우 한인사회에 대한 관심이나 정보 등이 부족한 반면 이민 정착 시기가 길어질수록 한인사회에 대한 실망감이 커져가는 것. 이는 올해 초부터 지속되고 있는 뉴욕한인회 분열 사태 등 한인사회 곳곳에서 화합보다는 갈등이 불거지고 있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한인 후손인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는 답이 81%에 달하는 것을 감안하면 민족적 자부심은 높지만 미국 내 한인들의 활동에 대해서는 불만족스러워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다. 정치 성향에 있어서는 젊은 세대와 중장년 세대 간의 차이가 컸다. 20대의 경우 27%가 진보라고 밝혀 보수라고 응답한 19%보다 높았다. 반면 60대의 경우 스스로 보수라고 밝힌 이들이 56%에 달해 진보라고 밝힌 32%보다 높았다. 또 20~30대의 절반 이상이 자신의 정치 성향에 대해 '모른다'고 응답해 정치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음을 시사했다. 이 외에 20대의 경우 진보라고 밝힌 비율이 높았지만 한국의 지지 정당을 묻는 질문에는 새누리당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13%로 새정치민주연합이라고 답한 5%보다 높았다. 미국의 지지 정당을 묻는 질문에서는 모든 연령대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42%가 민주당이라고 답한 반면 공화당 지지율은 14%에 그쳤다. 이는 한인 선출직 정치인들이 대부분 민주당 소속인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또 미국에서 실시된 선거에 참여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40대(35%)에 비해 60대(68%)가 높았다. 통일에 대한 생각에 있어서도 세대 간 차이를 보였다. 한국 통일이 최대한 빨리 이뤄져야 한다고 답한 20대와 30대는 각각 20%와 27%였다. 70대와 80대의 50%와 48%보다 낮다. 또 20대의 경우 통일이 필요 없다고 밝힌 응답자도 소수(4%)이지만 존재했다.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은 전 세대가 고루 높았지만 젊은 세대가 좀 더 높았다. 10명 중 9명이 국가 대항 경기에서 한국을 응원하겠다고 답했으며 20대의 경우 한국 응원이 95%였다. 하지만 60대의 경우 한국을 응원하겠다는 응답자가 80%로 다소 낮아졌다. 불법체류 이민자의 시민권 취득에 대해서도 세대 간의 시각 차가 나타났다. 조건 없이 시민권 취득을 허용해야 한다는 20대와 30대는 각각 16%와 21%로 나타났지만 60대와 70대의 경우 각각 38%가 불체자 시민권 취득을 동의했다. 반면 밀린 세금 납부.신원조회 등 조건을 통과한 자만 시민권이 아닌 합법 체류 신분을 부여해야 한다는 응답은 30대의 경우 34%로 60대의 8%에 비해 높았다. 결혼관에 있어서는 20~40대에 비해 70~80대가 결혼을 꼭 해야 한다고 답했다. 20대와 30대는 62%와 58%가 결혼을 꼭 해야 한다고 생각한 반면에 70대는 70% 80대는 96%가 결혼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여겼다. 반면 타민족과의 결혼에 있어서는 연령이 젊을수록 찬성하는 경향을 보였다. 20대의 93%가 타민족과의 결혼이 나쁘지 않다고 봤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찬성률이 낮아져 70대는 74% 80대는 55%만이 타민족과의 결혼에 찬성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한인 10명 중 7명이 타민족과의 결혼을 나쁘지 않다고 응답해 과거에 비해서는 유연한 시각을 보였다. 동성 간 결혼에 있어서는 세대간 차이가 극명했다. 동성결혼에 반대한다는 20대는 전체의 52%였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반대 비율이 커져 60대는 80% 70대는 78% 80대는 87%가 동성결혼에 찬성하지 않았다. 서한서.서승재.황주영 기자 심지영.정하은 인턴기자 [email protected] ※설문 도와 주신 기관 ▶뉴욕한인봉사센터(KCS) 코로나.플러싱 경로회관 ▶맨해튼 뉴프론티어교회 ▶이노비(EnoB) ▶뉴욕장로교회 ▶맨해튼 IN2교회 ▶재미한국학교동북부협의회 ▶뉴저지 유영장로교회 ▶뉴저지 하나임교회 ▶법무법인 김&배 ▶뉴저지 큰집 식당 ▶뉴저지 한국학교

2015-09-2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